최근 핫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ESG 뜻과
왜 기업들이 너도나도 ESG 경영 강화를 외치며 착한 기업이 되려고 하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ESG 뜻 :
ESG는 회사의 직접적인 이윤 창출과 상관없는 요소인 '환경의 E(Environment), 사회적인 S (Social),
지배 구조의 G(Governance)'를 뜻하는 약자로, 회사가 주주∙직원, 고객에게 얼마나 기여하는지?
환경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지? 오너 중심 구조가 아닌 지배 구조는 투명한지?에 대한 다각적으로 평가를 나타냅니다.
쉽게 말해, 기업이 돈만 벌려고 하지 않고 사람과 환경에 대해 얼마나 기여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ESG 경영이 화두가 되었는가?
1. 스마트한 소비자들, 소비자들이 점점 똑똑해지고 있다.
2.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상품이나 서비스 품질이 상향 평준화 갖춤
3. 코로나19를 겪으며 환경오염을 줄여야 결국 모두에게 이익이 됨을 알게 됨
지속 가능 경영의 뜻
성장 중심의 경영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지속 가능 경영이란, 기업의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책임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하는 경영 패러다임을 가리킵니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많은 기업들이 파산하거나 적자에 내일을 가늠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투자자들은 미래에도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기업, 즉 지속 가능한 회사를 찾기 시작하였습니다.
ESG 경영 뜻,
우리나라 대기업을 필두로 너도나도 '착한 기업'이 되겠다고 나섰습니다.
지금까지 이렇게 많은 기업들이 착한 기업이 되어서 지역사회와 환경에 좋은 기업이 되겠다고 나선적이 없었습니다.
ESG 구성요소 핵심키워드
1. 환경적 요소 Environment
탄소 배출 저감, 자원 절약, 자원 재활용, 청정 기술 개발, 기후변화 선제적 대응
2. 사회적 요소 Social
인권 존중, 고용 평등, 지속적 노동환경 개선, 사회적 약자 배려, 고용의 다양성 지향
3. 지배구조 요소 Governance
반부패, 재벌 지배 구조 개선, 오너 중심 재편, 투명한 기업 운영, 법과 윤리준수, 공정성 강화
ESG 지표가 높은 기업이 살아남는다?
ESG vs CSV vs CSR 뜻, 특징과 차이점
1, ESG 뜻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기업적 관점이 아닌 투자자 관점에서 미래의 지속 성장 가능한 경영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성과 기준이 아닌 비재무적 평가 기준
2. CSR 뜻 (사회 공헌활동)
Creating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이 이윤을 추구하면서도 지역사회, 환경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사회 불평등 근절, 환경오염 방지 등에 대한 사회적 의무를 수행하는 모든 활동
3. CSV 뜻 (공유가치창출)
Creating Shared Value
경제적 수익을 창출하면서 동시에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내고 추구하는 기업 활동
ESG은 앞서 말한 것처럼 재무적 요소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에는 ESG를 외면하였고, 오직 기업은 이윤 창출에만 열중하였습니다.
이전에서 CSR(사회 공헌활동)과 CSV(공유가치창출)이라는 개념이 있었고, 활동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수준까지 미치지 못했습니다.
기업들인 보여주기식 성과에만 집착하였고, 소비자들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매출에는 특별한 영향을 없었습니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환경오염에 대한 소비자들의 마음이 급격하게 변화였고,
투자자들도 하루아침에 망해 나가는 기업들을 보면서 투자의 관점이 바뀌기 시작하였습니다.
ESG 경영은 지금까지 있었던 CSR과 CSV를 합친 것 이상으로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엄청난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공유가치창출(CSV) 뜻; 회사의 이윤창출 기회와 지역 사회의 필요가 만나는 곳에 비즈니스적 가치를 창출하여 지역사회와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개념.
*사회 공헌활동(CSR) 뜻: 회사의 관점에서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기 위한 활동을 경영에 도입하고 통합시키는 개념
왜 너도나도 착한 기업(ESG 경영)이 되려 하나?
지금까지는 기업은 이윤추구만 잘하면 되었습니다.
투자자들은 많은 이윤을 남겨서 배당을 많이 해주는 회사에 투자하였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를 겪으면서 투자자들이 변화기 시작하였습니다.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하루아침에 문을 닫는 기업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겁을 먹었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업을 찾기 시작하였습니다.
똑똑한 소비자들의 등장과, 미래의 성장을 불안한 투자자,
환경오염의 심각성 대두 등 3박자가 맞아떨어지면서 ESG 경영이 세계적인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이제는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착한 기업이 되어서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환경오염도 줄이는 기업이 소비자와 투자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esg 경영이란,
네이버, 카카오도 ESG 경영에 나선 이유?
우리나라 대표 IT기업 카카오, 네이버도 ESG 강화에 손발을 걷고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일까요?
왜냐하면, 앞으로 ESG 지표가 나쁜 기업은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통적으로 성공한 기업은 이윤창출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줄이고 효율을 우선시하는 회사였습니다.
이제는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소비자, 투자자들이 외면을 받을 것입니다.
소비자, 투자자들의 버림을 받은 기업의 미래는 위태로울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ESG 경영 강화를 네이버, 카카오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10대 대기업이 앞다투어 '내가 ESG 제일 잘한다!'를 외치고 있습니다.
결국은,
ESG 경영 강화를 통해 착한 기업을 넘어 코로나19 같은 급격한 위기 상황에
사회, 환경, 지배 구조를 개선하여 복합적 리스크를 잘 관리하여
위기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기업이 되는 것입니다.
'경제가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디락스 뜻과 유래 실제사례까지 간단정리! (0) | 2021.11.08 |
---|---|
하이브리드 마케팅 뜻, 실전 사례 2가지 (0) | 2021.10.23 |
[역발상] 샘월튼의 월마트는 도대체 어떻게 성공한 것일까? (0) | 2014.04.17 |
일회용 기저귀의 탄생, 마리안 도노반 (0) | 2011.11.18 |
라이트 형제 스토리, 그 끝없는 도전 (0) | 2011.11.16 |